검색

2020년 추기경회의를 위해 성 베드로 대성전의 ‘성 베드로 사도좌’ 제대 앞에 모인 프란치스코 교황과 추기경들 2020년 추기경회의를 위해 성 베드로 대성전의 ‘성 베드로 사도좌’ 제대 앞에 모인 프란치스코 교황과 추기경들  

여름의 끝자락에 소집되는 추기경회의, 세계를 바라보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여덟 번째 추기경회의를 소집한다. 신임 추기경으로 임명된 21명을 살펴본다.

ANDREA TORNIELLI / 번역 이재협 신부

프란치스코 교황이 오는 8월 27일 21명의 새 추기경 서임을 위한 추기경회의를 소집한다고 깜짝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서임식을 세 달이나 앞둔 시점에서 나왔다. 21명의 신임 추기경 가운데 16명은 만 80세 이하로 교황 선거권이 있으며, 5명은 이미 만 80세가 지났거나 8월 27일 이전에 만 80세가 된다.

8월 말은 전통적으로 추기경회의가 소집되는 시기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추기경회의는 2월이나 6월, 혹은 9월에 소집된다. 하지만 교황은 교황청 개혁을 담은 새 교황령 「복음을 선포하여라」(Predicate evangelium)를 성찰하기 위한 전 세계 추기경들의 모임에 앞서 새 추기경 서임을 위한 추기경회의가 8월에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3월 19일 반포된 새 교황령은 오는 6월 5일 성령 강림 대축일부터 발효된다. 신임 추기경들의 서임식은 8월 29일과 30일에 있을 전체 추기경단의 모임에 앞서 8월 27일 거행된다. 

새로 임명된 추기경 명단을 살펴보면 프란치스코 교황이 교황직 재임 기간 중 지향해온 바를 확인할 수 있다. 어느 정도 추기경 서임이 예상됐던 교황청 경신성사성 장관, 교황청 성직자성 장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의 이름은 차치하더라도 교황 선거권을 보유한 16명의 신임 추기경 명단은 놀라움을 자아낸다. 교황은 전통적으로 “추기경급”으로 인식된 교구나 지역의 주교들이 아닌 변방 지역의 주교를 추기경으로 임명함으로써 세계 각지의 고위 성직자를 추기경단으로 결합하려는 의지를 다시 한번 드러냈다. 

새롭게 추기경으로 임명한 교황청 3개 부서 책임자 중 두 명은 유럽 출신(영국: 아서 로시 대주교, 스페인: 페르난도 베르헤스 대주교)이며, 한 명은 아시아 출신(대한민국: 유흥식 라자로 대주교)이다.

교황 선거권이 있는 신임 추기경 중 2명(프랑스 마르세유대교구장, 이탈리아 코모교구장)은 유럽 지역의 교구장이다. 이탈리아 출신으로 8월 27일자 추기경단 중 최연소가 될 48세의 몽골 울란바토르지목구장 조르조 마렌고를 포함한 5명은 아시아 지역의 교구장 주교다. 그 밖에도 아프리카 대륙에서 2명, 아메리카 대륙에서 4명(미국 1명, 중남미 3명)의 주교가 교황 선거권을 보유한 추기경으로 서임됐다. 특히 브라질에서는 새 추기경이 두 명이나 나왔다. 마르세유대교구장이 알제리 출신이고 코모교구장이 이탈리아 북동부와 북서부 사이에 있는 교구장 중 유일한 추기경이라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교황을 선출할 수 있는 나이인 만 80세가 이미 넘었거나 오는 8월 27일 이전에 만 80세가 되는 5명도 새 추기경으로 임명됐다. 그 가운데 2명은 주교가 아니며, 3명은 이탈리아 출신이다. 주교가 아닌 2명 중 한 명은 로마 그레고리오 대학 학장을 역임하고 교황청에서도 일한 교회법 학자 잔프랑코 기를란다 신부(예수회)다.

과거 성 바오로 6세 교황은 교황 선거권을 보유한 추기경의 수를 120명으로 제한한 바 있으나, 이번 신임 추기경 임명으로 선거인이 120명을 초과한다. 하지만 이 같은 일은 과거에도 몇 차례 있었다. 현재 208명으로 구성된 추기경단 중 선거인은 117명, 비선거인은 91명이다. 오는 8월 27일 새 추기경들이 공식 서임되면 추기경단은 229명으로 늘어나며 선거인은 132명이 된다. 전 세계 추기경 229명 가운데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 임명한 추기경은 52명(선거인 11명), 베네딕토 16세 전임교황이 임명한 추기경은 64명(선거인 38명), 프란치스코 교황이 임명한 추기경은 113명(선거인 83명)이다.

전 세계 추기경 분포를 지리적 측면으로 살펴보면 오는 8월 27일 기준으로 △유럽 대륙 107명(선거인 54명) △아메리카 대륙 60명(선거인 38명) △아시아 대륙 30명(선거인 20명) △아프리카 대륙 27명(선거인 17명) △오세아니아 대륙 5명(선거인 3명)이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고, 임의 편집/변형하지 마십시오)

29 5월 2022, 13:42